목차
- HTTP 프로토콜이란?
- HTTP 요청 메시지 구조
- HTTP 응답 메시지 구조
HTTP 프로토콜 (PROTOCOL)이란?
웹 서버 (아파치 등)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크롬 등)와 통시하는 규약입니다. TCP 프로토콜에 기초합니다.
HTTP 프로토콜의 특성
- connection-oriented : 서버에 접속 후 요청함
- stateless : 서버는 응답한 후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 (보유) 안 함 (쿠키 / 세션의 필요성)
HTTP 요청 / 응답 과정 (request / response)
- 접속 설정
- 클라이언트가 요청 메세지 전송 (request)
- 웹서버가 응답 메세지 전송 (response)
- 연결 끊음
HTTP 요청 메세지 구조 (request)
- GET : 웹 서버에게 요청 처리 방식을 지정
- /index.html : 서버에 존재하는 파일 URI
- HTTP/1.1 : HTTP 버전 정보
요청 헤더
- 라인에 하나씩 헤더 정보를 <key : value> 형식으로 기술
- 헤더 끝에 공백 라인
요청 몸체
- POST 방식에서만 사용
- 클라이언트에서 작성한 데이터를 POST 방식으로 전송
- 전송할 데이터를 숨김
- 사용처 : 로그인 요청, 사용자 인증 등
HTTP 응답 메시지 구조 (response)
시작 라인의 응답 코드 종류
- 200 OK : 요청 성공
- 400 Bad Request : 잘못된 요청
- 401 Unauthorized : 인증 오류
- 403 Forbidden : 사용자 허가 모드 오류
- 404 Not Found : 요청 문서 존재 안 함
- 405 Method Not Allowed : 요청 방식 지원 안 함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에서 실행 중 오류 발생
- 503 Server Unavailable : 일시적으로 요청 처리 불가
'Programming > DevOps,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System] 웹 서버 (web server)와 아파치 설정 (1) | 2023.01.30 |
---|---|
웹 (WEB), 웹어플리케이션, WAS, 웹 컨테이너... (1) | 2022.09.23 |
[LINUX] cron service (0) | 2022.09.01 |
[Linux] 표준 디렉토리 (0) | 2022.08.23 |
CORS에 대하여 (0) | 2022.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