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2 [ORACLE] Lock 1편 - Lock의 개념과 매커니즘 본 포스팅은 도서 "전문가를 위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 (저: 토마스 카이트)" 중 chapter 06 락킹과 래칭을 참고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다중 사용자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면, 락킹 (locking) 메커니즘에 대해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락킹 메커니즘은 DB를 활용하는 주요 기능으로 개발자는 락킹 메커니즘을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합니다. 특히 오라클의 경우 다른 DB보다 더 월등한 락킹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Lock을 무시한 채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무결성이 깨지거나 예상 밖의 데이터 결과를 만들어 버리게 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유 데이터 구조 (table, row, procedure 등)에 대하여 어떻게 락을 걸.. 2022. 10. 12. 데이터베이스 (DB)의 이해 목표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을 이해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을 이해한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목차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배경과 역할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요소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이며, 그 등장 배경과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DB, DBMS,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같이 모호하게 사용하고 있는 DB 기본 용어를 바로 알고자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배경과 역할 현재 얼마나 많은 데이터의 양을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이미지입니다. 2013년까지는 4.4 제타바이트의 데이터가 만들어졌다면 2020년까지 44 제타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2014년에 예측한 자료입니다. 실제로는 그보다 더 많이 만들어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속도 그.. 2022. 2.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