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Languages (Java, etc)41 [SPRING] 테스트 코드 - 테스트 소개 제 PC에선 잘 되는데요? -> 테스트 코드는 확인해보셨어요? 목차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 JUnit framework TDD DI in Test 정리 참고 테스트 코드가 중요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회사들이 채용 조건 (우대사항)에 테스트 코드에 대한 작성법, TDD 방법론을 언급하니까요. 작성 여부와 상관없이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은 모든 개발조직이 공감하고 있을 겁니다. 실무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시나요? 대형 플랫폼 기업들은 작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그 외 선진적인 개발리더들은 본인이 리드하는 팀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도록 할 것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SI 기업이나 시니어를 두지 않고 주니어 혼자 모든 것을 개발하는 환경에 놓인 개발팀이라면 경력이 몇 년이든 테스트.. 2023. 3. 21. [SPRING] Bean의 정의와 IoC 컨테이너 (부제 : IoC는 DI가 아니에요) Unfortunately, there aren't clear answers to the simple question of what a Spring bean really is..... * 출처 : https://www.baeldung.com/spring-bean 그렇다고 합니다.... 이렇다 보니 구글링 해서 나오는 bean, IoC, DI에 대한 포스팅들은 해석이 약간씩 다릅니다. 그래서 이번만큼은 최대한 스프링 공식 문서 (docs.spring.io)와 스프링 공식문서만큼 많이 보는 (절망적 이게도) baeldung에 의존합니다. 아래 공식문서를 붙여드립니다.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reference/html/core.html#be.. 2023. 2. 14. [JAVA] Thread 1편 - 멀티스레드에서의 공유자원 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 (JVM)이 어떤 식으로 스레드를 구현하도록 설계해 두었는지 알아봅니다. 또한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공유자원으로 연산할 때 발생할 문제점과 해소방안을 확인합니다. 2편에서는 해소방안에 대해 더 깊게 고민해 봅니다. * 스레드의 개념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에서 간략히 소개했으니 먼저 참고 바랍니다. 2022.02.25 - [Programming/운영체제] - 프로세스 (Process)와 스레드 (Thread) 프로세스 (Process) 목표 프로세스의 개념을 이해한다. 스레드의 등장 배경과 그 장점을 파악한다. 스케줄링 단계와 정책을 이해한다. 목차 프로세스 (Process) 스레드 (Thread) 스케줄링(scheduling) 참고 프로세스 (Process) kghworks.ti.. 2023. 1. 19. [SPRING] @Transactional을 얼마나 이해했는지 보자 목차 @Transcational CASE 정리 참고 2022.08.19 - [개발/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트랜잭션 (transaction) SQLException 발동! throw new SQLException(); } @Transcational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이 commit 되었습니다. case 2~3에서 알 수 있듯 @Transcational은 UncheckedException (RuntimeException)에 대해서 rollback 하는 것이 default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발자가 설정하지 않으면 적용될 기본값일 뿐, 우린 많은 옵션을 줄 수 있습니다. case 4 : rollbackFor 속성 @Transactional (rollbackFor = SQLException... 2023. 1. 4. [JSP] jsp를 모듈화할 때 액션태그를 써야하는 이유 목차 include 지시어와 액션 태그 jsp 런타임에서 차이점 jsp 페이지들을 모듈화 하고자 할 때 쓰는 방법이 include입니다.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지시어를 사용하는 방법과 액션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둘의 차이를 알아보고 적절한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nclude 지시어와 액션태그 include 지시어 지정된 파일 (foo.jsp)의 텍스트를 지시어 위치에 그대로 삽입합니다. 대상이 되는 JSP페이지가 서블릿으로 변환시키기 전에 삽입됩니다. 즉 JSP 파일의 텍스트 그 자체가 지시어가 사용된 곳에 그대로 삽입되어 그 이후 서블릿으로 변환됩니다. 주로 정적인 요소 (공통 scirpt, css, js library 등)들을 삽입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include 액션태그 지.. 2022. 11. 13. [JSP] 영역, Scope 목차 영역이란 영역 속성 값 JSP에서 관리되는 객체들은 영역을 가지고 각 영역에 따라 객체 정보를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Hello1.jsp 에서 생성한 유저 정보를 reqeust scope에 저장해두면 같은 reqeust scope에 해당하는 Hello2.jsp에서도 유저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 JSP 페이지 내에 있는 객체를 JSP 전역에 걸쳐 변수처럼 사용이 가능해지는군요. 이 scope (영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영역 (scope)이란 JSP 페이지에서 존재하는 객체 (내장 객체 포함)들은 영역 (scope)속성을 가집니다. * scope : 객체의 활동 (사용) 영역 객체가 가지는 영역 속성 값의 종류 page request session application 같은.. 2022. 11. 11.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