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121 [Docker] mysql 8.0 설치하기 docker-compose.yml 작성 mysql 이미지 다운로드, 컨테이너 생성 mysql 설정 1. docker-compose.yml 작성 # compose 파일 버전 version: '3' services: # 서비스 명 mysql: # 사용할 이미지 image: mysql:8.0 # 컨테이너 실행 시 재시작 restart: always # 컨테이너명 설정 container_name: mysql # 접근 포트 설정 (컨테이너 외부:컨테이너 내부) ports: - "3306:3306" # 환경 변수 설정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비밀번호] TZ: Asia/Seoul # 명렬어 설정 command: - --character-set-server=utf8mb4 - --.. 2023. 6. 15. [운영체제] 병행 프로세스 이번 포스팅에선 운영체제에서 병행 프로세스의 개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병행프로세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방안을 검토해 봅니다. 목차 병행 프로세스 병행성 문제 세마포어 세마포어를 활용한 병행 프로세스 문제 해결 프로세스 간 통신 병행 프로세스 병행성 (concurrency)이란 2개 이상의 프로세스 (스레드)가 동시 수행되는 시스템의 특성입니다. 이때 2개 이상 수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병행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interleaving 형식 한 개의 CPU로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연산합니다. 사용자는 동시에 프로세스들이 진행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확히 '동시'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연산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의도를 무시하고 하나의 CPU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프로세.. 2023. 5. 14. [GIT 좀 더 이해하기] 3. merge 와 rebase 차이 rebase를 하는 것이 merge 보다 히스토리를 깔끔하게 한다고 합니다. 보통 이 정도의 차이로만 인식하고, rebase를 merge의 대체제로 쓰신다던가 하는 불상사가 일어나기도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둘의 차이점을 알고, 용도에 맞게 어떻게 쓰면 좋을지 알아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지 않는 것 merge의 개념 rebase의 개념 위 2가지는 여러 레퍼런스가 있으니, 그곳에서 먼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backlog.com/git-tutorial/kr/stepup/stepup2_4.html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Git 입문~버전 관리를 완벽하게 이용해보자~ | Backlog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Git에 입문하신 것을 환영합니다. Git을 사용해 버전 관리를 할 .. 2023. 5. 11. [정보통신] 내 컴퓨터는 DNS를 얼마나 빨리 수행할까 HTTP 완벽 가이드 책을 읽으면서 대부분의 HTTP 성능은 TCP 성능에 의존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궁금한 건 TCP 네트워크를 맺기 위해서 처음 할 일은 DNS로 실제 접속할 IP를 찾아내는 것인데 (보통 쿼리한다고 함), 이게 얼마나 걸릴지 궁금해서 재미삼아서 해봤다. nslookup naver.com 빠르다. 저 4개 중 아무거나 골라서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면 naver.com으로 잘 접속된다. 로컬 캐시가 없다면, DNS 인프라를 이용하여 접속할 IP를 찾으러 다니는데 시간을 할애하는데, 이제는 인터넷의 발전으로 이 과정마저 밀리초 단위로 끊어낸다고 한다. 참고 https://www.oreilly.com/library/view/http-the-definitive/1565925092/ .. 2023. 5. 1. [GIT 좀 더 이해하기] remote repository에 최초 push 하기 깃 저장소를 세팅할 때 git repository를 만들고 최초 소스를 push 하는 데에 애를 먹는 경우가 있다. 최초 세팅은 리더들이 해놓는 경우가 다반사라서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저장소와 소스가 세팅된 상태에서 git clone 부터 시작한다. 평소에 잘 해보지 않는 프로세스라 처음 해보는 경우 이 과정에서 딜레이가 발생하곤 한다. 따라서 이 포스팅에선 깃 저장소를 생성 후 로컬 프로젝트를 최초 push 하는 방법을 다룬다. (짧은 포스팅이다)git init :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지정 cd "프로젝트 폴더"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프로젝트 폴더"결과 : 폴더에 .git 폴더가 생김 gid add : push할 파일.. 2023. 4. 25. [GIT 좀 더 이해하기] 1. fetch와 pull의 차이점 회사에서 깃을 도입하려 하면서 깃을 먼저 실험해 보는 입장이 되었습니다. 이전에 퍼블리셔, 프리랜서 앱개발자들과 깃 (깃헙)을 아주 신명 나게 사용했어서, 이번회사에서 깃으로의 전환 소식은 기쁘지 아니할 수 없습니다. 오래간만에 깃을 만져보면서, 새록새록 떠오르는 모호한 개념들을 소재로 포스팅을 만들어가보겠습니다. (제가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어요) 시리즈명은 GIT 좀 더 이해하기 이 포스팅은 깃의 전반적인 이해 (remote / local repostiory, push, pull, commit 기타 등등)을 얇게 하고 있다는 전제로 합니다. 시리즈의 첫번째 주제로 fetch와 pull이 뭐가 다른지 살펴보겠습니다. fetch : 가져오기 pull : 가져와 병합하기 fetch는 최신 이력을 가져와.. 2023. 4. 1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