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120

[Database] 빅 데이터 (Big Data) 1장 - Big Data Storage System 전통적인 application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MS)를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 application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딱 맞는 데이터만을 다루지 않는다. 더 이상 데이터는 하나의 엔터프라이즈로부터 생산되지 않는다. 즉 빅데이터가 나타났으며 이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여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종류들이 등장한다. 따라서 빅 데이터를 정의, 분류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을 훑어본다. 전체적인 흐름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Abraham Silberschatz , Henry F. Korth , S. Sudarshan 저)의 10장 Big Data을 따른다. 목차 빅 데이터 (Big Data) 이전의 데이터 빅 데이터 쿼리 (Query) 빅 데이터 저장소 .. 2024. 4. 13.
[Intellij] java.lang.NoSuchFieldError: FILE_HASHING_STRATEGY Intellij 2024.1 이 릴리즈 되었다. 그리고 업그레이드하자마자 코틀린 빌드 시 아래 에러를 마주했고, 하는 수 없이 2023.6으로 롤백했다. 빨리 다음 버전에 패치해 줬음 한다. 의심 가는 원인은 kotlin 버전이다. 1.6 이하 (포함)에서 빌드 시 버그가 있는 느낌이다. Kotlin: connecting to daemon Kotlin: compiling [my.module] Kotlin: kotlinc-jvm 1.6.21 (JRE 11.0.22+7-LTS) Kotlin: [Internal Error] java.lang.NoSuchFieldError: FILE_HASHING_STRATEGY at org.jetbrains.kotlin.jps.targets.KotlinJvmModuleBuil.. 2024. 4. 12.
[Git] 로컬의 프로젝트별로 git config를 적용하고 싶을 때 로컬의 프로젝트별로 git config를 적용하고 싶을 때 cd .. git config -l ## git config (global) cd git config -l --local ## git config (특정 프로젝트) git config --loc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local user.email "Your Email" git config -l --local ## 바뀌었는지 확인 (아래에서) 2024. 3. 8.
[Tip] IntelliJ에서 Java 코드 Kotlin으로 자동 변환하기 Java-to-Kotlin converter 인텔리제이는 자바 코드를 코틀린으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정확히는 .java 파일을 .kt 파일로 변환해주는 것. 완벽히 변환하지는 않지만 초반에 코틀린이 어색하거나 할때 유용하게 사용 가능할 듯? 자바 파일 > 오른쪽 마우스 > Convert Java File to Kotlin File 2024. 3. 7.
[Intellij] 코드 복사 text만 하는 방법 (copy as plain text) 문제 Intellij에서 코드를 복사해서 다른 곳에 붙여 넣을 때 코드 블록채로 복사되어 툴에 따라 코드블록이 생성되면서 붙여 넣어질 때가 있음 해결 방법 1. 오른쪽 마우스 > Copy as Plain Text (임시방편) 이렇게 하면 복사할 때마다 해줘야함. 방법 2. Copy as rich text 설정 해제 아래 그림처럼 기본적으로 Copy as rich text 설정을 체크 해제해서 기본적으로 복사 시 텍스트만 복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 2024. 3. 6.
[algorithm] 정렬 2. 퀵 정렬 https://kghworks.tistory.com/175 [알고리즘] 정렬 1. 병합 정렬 목차 병합정렬 하향식 병합 정렬 (top-down) 상향식 병합 정렬 (bottom-up) 병합 정렬은 점근적으로 볼 때 최적의 비교 기반 정렬 알고리즘이다 병합정렬 병합 (merge)은 정렬 대상을 2개의 배열로 쪼갠 kghworks.tistory.com 이어지는 포스팅이다. 목차 퀵 정렬 퀵 정렬 성능 특성 퀵 정렬 알고리즘 개선 퀵 정렬 퀵 정렬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구현이 쉽고, 다양한 형태의 input이 가능하다. 응용상황에서 다른 정렬 알고리즘들보다 (병합, 선택, 삽입 정렬) 빠르고, 추가적인 메모리 사용을 하지 않는 in-place sorting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부주의한 .. 2024.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