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1 [정보통신] 데이터 통신 목차 데이터 통신 변조와 복조 전송 코드 전송 방식과 전송 효율 데이터 통신이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정보 (데이터,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데이터 통신에 어떤 방식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데이터 통신의 3대 요소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변조의 의미와 종류, 방식을 확인합니다. 그다음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코드를 확인합니다. 전송방식에은 어떤 것들 (방향, 모드, 동기 등)이 있는지 보고, 전송 효율 (동기, 비동기)에 대해서 봅니다. 데이터 통신 통신이란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때 전달하는 정보 (메시지)가 데이터라면 이것이 데이터 통신입니다. 데이터 통신에 영향을 주는 2가지 요소 coding : 메시지가 상호 이해가 되어야함.. 2023. 4. 12. 렛츠런파크 서울 벚꽃축제 https://naver.me/5DHjRlsB 렛츠런파크서울 : 네이버 방문자리뷰 67 · 블로그리뷰 2,483 m.place.naver.com 2023. 4. 2. [정보통신] DNS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DNS란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웹 상에서 너무 국소적으로 정리해 놓거나, 호스팅 업체 글에는 본인들 상품과 연관 지어 헷갈리게 써놓은 것 같아 최대한 advanced 내용들은 제거하고 기본 상식 수준에서 정리했습니다. 목차 DNS란 DNS 네임 스페이스 DNS 구성요소와 동작 순서 DNS란 DNS란 전화번호부와 같습니다. 우리는 휴대폰에서 전화할 때 실제 전화번호(010-xxxx-xxxx)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간단하게 한글로 검색해서 (홍길동, 사랑하는 아들 등) 상대 전화기와 연결이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웹사이트 (서버)에 접속할 때 서버 고유 IP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사이트 이름 (www.naver.com)을 입력해서 접속합니다. IP 주소 없이 사이트 이름 .. 2023. 3. 29. [보안] 사이버 공격 목차 악성코드 네트워크 공격 참고 사이버 공격은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속해서 상대 컴퓨터에 손상을 입히려는 행위입니다. 공격대상은 개인부터 국가, 기업, 기관 다양합니다. 일반적인 공격 방식은 네트워크나 로컬호스트 상에 약점을 이용해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여 접속한 뒤 공격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공격방식은 패킷 조작, 웹사이트 취약점 공략, 무선환경 기반을 이용하는 등 다양해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이버 공격의 유형과 특징을 알아보고 사이버 공격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해보겠습니다. 악성코드 (Malicous Code, Malware) 악성코드는 악의적인 용도로 사용할 코드를 심은 유해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시스템을 손상시키거나 정보를 유출하는 등 .. 2023. 3. 29. 개발자는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다. 백기선 : 현재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어떤 기술이나, 방법론이나... 그런 거 없을까요? 박미정 :...(중략) 어떤 기술이나 방법론을 특정 짓기보다..... (중략) 저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나 모놀리식 그런 용어를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요. '우리 MSA 해야 돼! ~~ 해야 돼!' 시작이 그게 아니고.. '우리가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데'이어야 되거든요.. * 유튜브 백기선 채널 박미정 님 인터뷰 Ep3 (링크 : https://youtu.be/tPOudSNxi8E?t=281) 현재 무신사 개발팀장으로 계신 박미정 님이 백기선 님의 채널에서 몇 년 전 진행한 인터뷰의 일부이다. 최근 훌륭한 개발자들과 인터뷰할 일들이 많아지면서 유튜브와 같은 SNS 채널을 통해서도 개발 리더들의 의견들을 챙겨.. 2023. 3. 27. [보안] 인증(Authentication) - 메시지 인증과 사용자 인증 누구냐 넌 목차 인증(Authentication)이란 메시지 인증 사용자 인증 인증(Authentication)이란 컴퓨터 보안에서 말하는 인증이란 어떤 실체가 그 실체가 맞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어떤 메시지를 받았을 때 이 메시지가 위변조 된 것은 아닌지 체크하는 것, 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정상적인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인증하고자 하는 실체 (대상)는 메시지, 사용자, 출처, 장치 등 여러 종류가 될 수 있습니다. 메시지 인증 메시지를 받았을 때 해당 메시지가 위변조 되지 않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신된 것이 맞는지 메시지의 무결성을 인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MAC (Message Authentication Code) * mac address와 다른 개념 메시지 .. 2023. 3. 27.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