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1

눈이 내린 올림픽공원 설날 당일 새벽부터 서울에는 눈이 내렸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니 눈이 꽤 쌓여있어 가방 매고 올림픽공원으로 갔습니다. 다행히 눈이 많이 쌓였습니다. 나 홀로 나무는 유명한 사진 스팟이라 카메라 매신 분들도 많은 곳입니다. 그러나 눈이 내리면 썰매를 타는 분들도 많은지라 눈이 지워지기 전에 얼른 담아야 합니다. ㅎㅎ 공원 잔디에는 "잔디 보호" 표지판이 있는데 대부분 잔디를 밟고 다닙니다. 가끔 썰매 타는 것만 제지할 뿐 딱히 통제를 하지는 않는 것 같네요. 까치는 눈을 퍼먹은건지, 눈 위에 무언가를 주워 먹은 건지 입에 눈 투성이 매끈한 잔디 위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게 신기하네요. 올림픽공원에서 세간 핫했던 영희는 사라졌습니다. 집에 갈 때 즈음에는 눈이 대부분 녹았습니다. 눈이 오거나, 날씨가 좋거나 할.. 2022. 2. 2.
강릉 - 카페 툇마루 http://naver.me/GSiUXtSK 카페 툇마루 : 네이버 방문자리뷰 4,810 · 블로그리뷰 3,503 m.place.naver.com 강릉 툇마루 카페에 다녀왔습니다. 40분 정도 줄을 서서 들어갔고, 매장에서 마셨습니다. 직원이 주실 때 커피가 층이 져있기 때문에 저어먹지 말라고 당부해주셨습니다. 2층에 자리잡고 마셨습니다. 자외선이 굉장한 날이었어서 해를 피해서 기둥에 기대서 마셨습니다. 2022. 1. 31.
[언박싱] MARKINS Q20i-Q 레오포토 트레벨러 삼각대를 살 떄 받은 레오포토 볼헤드가 6개월만에 부러졌습니다.;; 박스 뾱뾱이는 언제나 설레게 합니다. 마킨스 파우치에 들어있습니다. 확실히 마감, 중량감, 튼튼한게 차원이 다릅니다. 돈 값 할 듯 하네요. 사용설명서 pass 2022. 1. 29.
[JAVA] String 데이터 타입, String pool 목차 String 객체 String Interning literal vs new String() 참조 String 객체 String 데이터 타입은 기본형이 아니라 객체입니다. 따라서 Stack에 값이 바로 저장되지 않고 Heap영역에 저장되고, 그 주소 값을 참조하는 변수가 stack에 쌓이게 됩니다. (아래 그림 참고) Heap에 저장할 때는 Heap 안의 String pool에 저장합니다. String Interning String 객체가 리터럴로 할당된다면 Heap 영역의 String Constants Pool에 저장되어 관리합니다. 기본적으로 pool안의 객체는 불변성 (Immutability)을 띄며 이 얘기는 값의 수정이 없고, 같은 값이 선언된다면 같은 객체를 참조하도록 한다는 의미입니다. .. 2022. 1. 28.
[JAVA] stack, heap (스택과 힙) 메모리 런타임 목차 자바의 메모리 영역 스택 (stack) 힙 (heap) 가비지 컬렉션 (Gabage Collection) 자바의 메모리 영역 자바의 메모리 구조는 크게 스택과 힙으로 나뉩니다. 스택 (stack) 기본 타입 (long, int, boolean,...)은 값을 실제로 저장 heap에 저장된 객체 (object 타입)의 주소값을 저장 scope 별 stack 영역 할당 스레드 별 독립적인 stack 할당 스택의 동작 과정은 간단히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g = 2; /*1*/ arg = plusOne(argument); /*4, 5*/ } private static int plusOne(i.. 2022. 1. 26.
기상청에서 시정 확인하기 https://www.weather.go.kr/w/obs-climate/land/city-obs.do 위 링크에서 현재 날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찍으시거나 바깥에 외출하거나, 관광지에 가실 때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사진을 찍는 저로서는 시정과 운량 데이터가 굉장히 유용합니다. 기상학에서 시정(視程)은 물체나 빛이 분명하게 보이는 최대 거리(가시거리, 문화어: 눈보기거리)의 측정 기준이다. ... 출처 : 위키백과 운량(雲量, cloud cover)은 특정 지점에서 관찰할 때 구름이 하늘을 덮고 있는 정도를 가리킨다.[1] 구름양이라고도 한다. 출처 : 위키백과 지역은 저희 지역인 서울/경기도로 선택했습니다. 초록색 박스의 시정 데이터를 통해 현재 가시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데, 보통 "20 이상.. 2022. 1. 26.